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ACL

by Mostlove 2025. 4. 15.
728x90
반응형

🔐 ACL(Access Control List) 완전 정리

✅ 개념

  • ACL은 라우터 인터페이스를 통과하는 트래픽을 필터링하여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 불필요한 트래픽 차단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업무용 트래픽에 대역폭 우선 할당 가능.

⚙️ ACL 기본 원칙

 

구분  설명
목적 차단(deny)이 주 목적이며, 허용(permit)은 선택적
기본 동작 ACL이 없으면 모든 트래픽은 자유롭게 통과
암묵 규칙 ACL 맨 끝에는 **deny any any**가 암묵적으로 존재
패킷 처리 위에서 아래로 순차 적용, 첫 일치 시 즉시 처리
수정 제한 중간 수정 불가 ➝ 전체 재작성 필요

📋 ACL 구성 단계

  1. ACL 작성 (하나 이상의 규칙 포함)
  2. 인터페이스 지정
  3. 트래픽 방향 지정 (IN/OUT)

🔄 방향 개념

 

방향  설명
IN 라우터로 들어오는 트래픽 제어 (ex. Serial 인터페이스)
OUT 라우터에서 나가는 트래픽 제어 (ex. FastEthernet 인터페이스)
※ 라우터의 입장에서 바라볼 것  

📑 ACL 유형

 

종류  범위  특징
표준 ACL 1~99 출발지 IP 기준만 필터링
확장 ACL 100~199 출발지, 목적지, 프로토콜, 포트 모두 지정 가능

🧮 와일드카드 마스크

  • ACL에서 IP 범위를 설정할 때 사용
  • 서브넷 마스크의 반대 개념 (보수)
  • 예시 정리:

 

IP/마스크  의미
192.168.2.10 0.0.0.0 하나의 호스트만
192.168.2.0 0.0.0.255 192.168.2.0 ~ 192.168.2.255까지 256대
192.168.2.0 0.0.0.31 192.168.2.0/27 네트워크 (호스트 32개)

🛠 ACL 명령어 예시

✅ 표준 ACL

access-list 10 permit 192.168.1.0 0.0.0.255

✅ 확장 ACL

access-list 110 permit tcp 192.168.2.0 0.0.0.255 host 192.168.1.20 eq 80

✅ any와 host 사용

access-list 100 permit ip any any
access-list 100 permit ip host 192.168.2.10 host 192.168.3.30

🧩 포트 제어 방식

 

명령어  설명
eq 특정 포트 (ex. eq 80)
gt 지정 포트보다 큰 값 (ex. gt 1023)
lt 지정 포트보다 작은 값
range 범위 설정 (ex. range 20 80)

⚠ established 옵션

access-list 100 permit tcp any 192.168.0.0 0.0.255.255 established
  • TCP 플래그(ACK, RST 등)가 설정된 패킷만 허용
  • 비정상 연결 방지 및 보안 강화에 효과적

📦 ACL 끝에 꼭 추가할 것!

access-list 100 permit ip any any
  • 암묵적 deny any any로 인해 의도치 않은 서비스 차단 방지

✏ 추가 예시 (메모장 작성 후 라우터에 붙여넣기)

access-list 110 deny tcp 192.168.3.0 0.0.0.255 host 192.168.1.20 eq ftp
access-list 110 permit ip any any

🖥 Telnet 접근 제어

  • Telnet 접속 자체를 ACL로 제어 가능
  • 보통 표준 ACL 사용,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VTY 라인에 적용

💡 팁 정리

  • ACL은 인터페이스 방향, 적용 위치, 규칙 순서가 중요하다.
  • 여러 프로토콜은 나눠서 설정하는 것이 성능 및 유지보수에 좋음.
  • any, host, 와일드마스크 개념은 정확하게 숙지 필수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Looping (라우팅 루핑)  (0) 2025.04.16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0) 2025.04.15
DDNS  (0) 2025.04.15
라우터  (0) 2025.04.14
무선 네트워크  (2)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