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DDNS (Dynamic DNS)
동적으로 변경되는 IP에 도메인을 매핑해서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사용 배경
- 가정이나 소규모 네트워크는 대부분 유동 IP를 사용함
- 외부에서 고정된 도메인 주소로 접속하고 싶을 때 DDNS 사용
⚙️ 구성 흐름
외부 사용자
↓
[공인 IP:포트] (모뎀)
↓ Port Forwarding
[사설 IP:포트] (공유기)
↓
내부 장비
🧩 관련 개념 정리
용어 | 설명 |
Port Forwarding | 공인 IP의 포트 요청을 공유기의 특정 포트로 전달하는 기능 |
Floating IP | 공유 가능한 공인 IP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엔 다른 조직이 사용 가능 |
Fixed IP | 항상 동일한 공인 IP. 서버 운영 등 외부 접속용으로 적합 |
DDNS | 사설 IP 장비를 도메인 이름으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게 매핑하는 기술 |
🏠 통신사별 네트워크 구조 차이
통신사 | 모뎀 IP | 공유기 IP | 설명 |
KT | 공인 IP | 공인 IP | 공유기까지 공인 IP 사용 가능 |
LG U+, SK | 공인 IP | 사설 IP | 공유기는 NAT 뒤에 있음 (사설망) |
해결 방법:
- 공유기를 브릿지 모드로 설정 → 공인 IP 직접 할당
- 또는 Port Forwarding 설정
🛠️ 라우터 디버깅 (RIP 예시)
디버깅 명령어로 라우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명령어 | 설명 |
debug ip rip | RIP 라우팅 프로토콜 동작을 실시간으로 확인 |
undebug all | 모든 디버깅 모드 종료 |
📶 시리얼 포트 상태 메시지
상태 | 설명 |
serial2/0 is up, line protocol is up | ✅ 물리/논리 모두 정상 |
serial2/0 is up, line protocol is down | ❌ 물리는 연결됨, 논리 계층 문제 |
serial2/0 is down, line protocol is down | 🔌 물리적으로 연결 안됨 |
serial2/0 is administratively down, line protocol is down | ⚠️ shutdown 상태 (명령어로 꺼둔 상태) |
→ 해결하려면 no shutdown 명령어 입력해야 함
📍 [1] 포트 포워딩 & DDNS 관련 (Packet Tracer 기준)
Cisco 라우터에서 직접 DDNS 설정은 잘 안하지만, 포트 포워딩 시뮬레이션은 가능
❗ 실제 장비에서 DDNS는 보통 공유기(홈허브)에서 설정함
(예: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DDNS 설정 – No-IP, DuckDNS 등)
📦 Packet Tracer에선 포트 포워딩 기능 자체는 라우터 스크립트가 필요함 → 간단 실습 불가
📍 [2] 디버깅 명령어 (RIP 기준)
명령어 | 설명 |
debug ip rip | RIP 동작 실시간 추적 |
undebug all 또는 u all | 모든 디버깅 종료 |
🧪 사용 예시:
Router> enable
Router# debug ip rip
Router# undebug all
🔎 디버깅은 라우터에서 실시간 동작 확인 시 유용하지만 CPU 사용률 증가 가능성 있으니 사용 후 꼭 끄자!
📍 [3] 시리얼 포트 설정 및 상태 확인
💬 상태 메시지 예시:
상태 메시지 | 설명 | 조치 |
up/up | 정상 상태 | - |
up/down | 라우팅 문제 | IP or 프로토콜 확인 |
down/down | 물리 연결 안됨 | 케이블, DCE 설정 확인 |
administratively down/down | shutdown 상태 | no shutdown 입력 필요 |
🔧 명령어로 설정하는 법
Router> enable
Router# 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2/0
Router(config-if)# ip address 192.168.1.1 255.255.255.0
Router(config-if)# clock rate 64000 ← DCE 케이블 쪽에서 필요
Router(config-if)# no shutdown ← 포트 활성화
Router(config-if)# exit
Router(config)# exit
Router# write
❗ clock rate은 DCE 포트에서만 설정 가능 (Packet Tracer에서 기본으로 선택됨)
📍 [4] show 명령어로 상태 확인
명령어 | 설명 |
show ip interface brief | 인터페이스 상태 요약 확인 |
show running-config | 현재 설정된 전체 구성 확인 |
show controllers serial 2/0 | DCE/DTE 여부 확인 |
✅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예시
Router# show ip interface brief
출력 예시:
Interface IP-Address OK? Method Status Protocol
Serial2/0 192.168.1.1 YES manual up u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