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by Mostlove 2025. 4. 15.
728x90
반응형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항목  설명
🧠 정의 내부 사설 IP 주소를 외부 공적 IP 주소로 변환하는 기술
🧩 필요성 공인 IP 부족 해결 및 내부 IP 보호
🧱 구성 조건 NAT를 지원하는 라우터와 두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필요
📡 적용 환경 대부분 조직, 학교, 학원 등에서 사용 중

📌 사설 IP 주소 범위 (RFC 1918)

 

클래스  범위
Class A 10.0.0.0 ~ 10.255.255.255
Class B 172.16.0.0 ~ 172.31.255.255
Class C 192.168.0.0 ~ 192.168.255.255

이 주소들은 인터넷에서 직접 사용 불가 → NAT 필요!


🔁 NAT 작동 방식

  • 내부 사설 IP → 외부 공적 IP (→ 인터넷 통신 가능)
  • 외부 공적 IP → 내부 사설 IP (← 서버 접속 등 가능)

주소 용어 정리

 

구분  설명
내부 로컬 주소 내부 네트워크 호스트의 사설 IP
내부 글로벌 주소 내부 로컬 주소에 대응하는 공적 IP (ISP 제공)
외부 글로벌 주소 외부에 위치한 공적 IP 주소
외부 로컬 주소 외부 글로벌 IP가 NAT 변환 후 도달하는 내부 IP

✅ "글로벌"이란 말이 붙으면 항상 공인 IP를 의미!


⚙️ NAT 유형

 

유형  설명  특징
🔒 정적 NAT 내부 IP ↔ 외부 IP 1:1 고정 매핑 서버 운영 시 사용 (ex. 웹, DNS 등)
🔄 동적 NAT 내부 IP ↔ 공적 IP 풀에서 자동 매핑 대부분 일반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
🌀 PAT (Port Address Translation) 하나의 공적 IP + 포트 번호로 여러 사설 IP 구별 실습에서 자주 보는 방식 (ex. 106.249.191.8:1234 등)

🎓 예시 (PAT 방식)

학교 내 모든 컴퓨터는 192.168.7.0/24의 사설 IP를 사용하지만
외부에서는 모두 106.249.191.8 하나의 공인 IP로 보임
→ 포트 번호로 각각을 구별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P부터 AD까지: 네트워크 경로 설정과 보안 실전 가이드  (0) 2025.04.16
Routing Looping (라우팅 루핑)  (0) 2025.04.16
ACL  (0) 2025.04.15
DDNS  (0) 2025.04.15
라우터  (0)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