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10

컬랙션 자료형 컬렌션 자료형이란? 컬렉션 자료형 : 관련된 여러 자료들을 모아서 하나의 단위로 관리해야 할 경우에 사용함 -컬렉션 자료의 종류 리스트 트플 집합 딕셔너리 !모임 관리 및 원소 접근 방법의 차이 리스트(List) -여러 자료 값들을 순차적으로 나ㅇ려해서 모아 놓은 것 -[]괄호 내에 자료값(원소)들을 콤마(,)로 구분해서 순자첮긍로 표현함 1.필요에 따라 자료 값들을 추가하거나 삭제 변경 가능함 1.원소들의 자료형은 같지 않아도 되고, 다른 리스트를 원소로 포함할 수도 있음 3. 원소값들이 같을 수도 있음 4.리스트 우너소들은 인덱스를 이용해서 개별 또는 부분 리스트로 참조 가능함 리스트의 개별 인덱스를 지정하여 변경하면 원소값만 변경됨 부분 리스트의 원소 삭제 범위를 지정해서 빈리스트([])로 대체함 .. 2024. 5. 16.
예외처리 오류구문오류 (Syntax Error) : 프로그램 실행전에 발생하는 오류 런타임 오류(Runtime Error)/예외(Exception) :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  SuyntaxError: EOL while scanning string literalSyntaxError - > 구문에 문제가 있어 프로그램 실행부터 불가능한 오류  예외 / 런타임 오류 실행중에 발생하는 오휴 기본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1조건문을 사용하는 방법-기본 예외 처리 try except 구문 try except구문 예외 처리할 수 있는 구문 try except else 구문 예외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실행할 코드를 지정하는 구문 finally구문  예외 처리구문에서 가장 마지막에 사용할 수 있는.. 2024. 5. 16.
함수 함수의 활용팩토리얼 (Factorial)n! = n * )n-1) * (n-2) * ...*1피보나치 수열#메모 변수를 만듭니다.dictionary = {1:1,2:1}#함수를 선언합니다.def fibonacci(n):    if n in dictionary:        #메모가 되어 있으면 메모된 값을 리턴        return dictionary[n]    else:        #메모가 되어 있지 않으면 값을 구함         output = fibonacci(n-1) + fibonacci(n-2)        dictionary[n] = output        return output#함수 호출print(fibonacci(10))print(fibonacci(20))print(fibonac.. 2024. 5. 10.
함수 함수에 매개변수 만들기식별자 뒤에 괄호가 붙어 있으면 해당 식별자를 '함수'라 함 함수를 사용하는 것 ->함수를' 호출'한다고 표현매개변수 : 함수 호출 시 괄호 내부에 넣는 여러가지 자료리턴값 함수를 호출하여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 함수의 기본def 함수 이름():      문자 가변 매개변수 매개변수를 원하는 만큼 받을 수 있는 함수 def 함수 이름(매개변수, 매개변수,...,*가변 매개변수 ):      문자기본 매개변수 매개변수 값을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매개변수에 들어가는 기본값 키워드 매개 변수 기본매개변수가 가변 매개변수보다 앞에 올때 -> 기본 매개변수의 의미가 사라짐가변 매개변수가 기본 매개변수보다 앞에 올 때 -> 가변 매개변수가 우선됨기본 매개변수 주엥서 필요한 값만 입력하기여러 함.. 2024. 5. 10.
범위 자료형과 반복문 범위 매개변수에 숫자를 넣는 방법매개변수에 숫자를 한개 넣는 방법0부터 A-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듦range(A) =>A는 숫자  매개변수에 숫자를 두개 넣는 방법A부터 B-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듦range(A, B) => A와 B는 숫자 매개변수에 숫자를 세 개 넣는 방법A부터 B-1까지의 정수로 범위 만들되 앞뒤의 숫자가 C만큼 차이를 가짐range(A, B, C) =>A,B,C는 숫자 범위를 만들 때 매개변수 내부에 수식을 사용하는 경우코드 특정 부분 강조 나누기 연산자 사용range()함수의 매개변수로는 반드시'정수'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TypeError발생for반복문범위와 함께 사용하기 for반복문과 범위의 조합for (숫자 변수) in 범위:코드  리스트와 범위 조합하기몇 번째 반복.. 2024. 5. 9.
반복문 리스트와 반복문리스트*여러 가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 자료들을 모아서 사용하라 수 있게 함대괄호 내부에 자료들을 넣어 선언함 요소 *리스트의 대괄호 내부에 넣는 자료 쉼표로 구분하여 입력함 리스트 내부의 요소를 각각 사용하려면 -> 리스트이름 바로 뒤에 대괄호 입력 후 자료의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 입력인덱스(Index) 대괄호 안에 들어간 숫자 - 리스트의 특정요소를 변경할 수 있음- 대괄호 안에 음수를 넣어 뒤에서부터 요소를 선택함- 리스트 접근 연산자를 이중으로 사용할 수 있음 - 리스트 여러개를 가지는 리스트 - 리스트의 길이가 넘는 인덱스로 요소에 접근하려는 경우!리스트에서의IndexError예외가 발생함 리스트 연산하기리스트 연산자 : 연결(+), 반복(*),len()append() : .. 2024. 5. 3.
조건문 else 구문if 조건문 뒤에 사용함 if 조건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부분  조건문이 오로지 두 가지로만 구분될 때 if~ else 구문 사용 ->조건 비교를 단한번만 하므로 이전의 코드보다 두배 효율적임elif구문의 사용세 개 이상의 조건을 연결해서 사용함if 조건문과 else 구문 사이에 입력함False로 변환되는 값빈 컨테이너 if 조건문의 매개변수에 불 아닌 다른 값이 올때 자동으로 불로 변환이때 False로 변환되는 값-> None, 0.0,빈문자열, 빈 바이트열, 빈 리스트 pass키워드 나중에 구현하고자 구문을 비워 두는 경우if zero == 0:     빈 줄 삽입else:     빈줄 삽입나중에 구현하려고 비워둔 구문indentationError*if조건문  사이에는 반드시 들.. 2024. 5. 3.
조건문 불(Boolean)불 = 불린 = 불리언True 와 False 값만 가질 수 있음  비교 연산자불은 비교 연산자를 통해 생성됨논리 연산자*불끼리 논리 연산자 사용이 가능함and 연산자 양쪽 변의 값이 모두 참일 때만 참or 연산자 둘중 하나가 참이면 참if조건문*조건에 따라 코드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할 때 사용하는 구문if 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 if의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을 붙여 줘야함 날짜 시간 출력하기 datetime.datetime.now()함수를 사용함 1날짜 시간과 관련된 기능을 가져옴import datetime2현재 날짜 시간을 구함 now = datetime.datetime.now 2024. 5. 2.
파이썬 자료형 숫자와 연산자의 종류 및 우선순위type() ㅎ마수로 소수점없는 숫자와 있는 숫자를 출력함 int 정수 float 실수 사직연산 +-*/정수 나누기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 %제곱 연산자:**변수와 입력변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변수를 생성함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 변수에 값을 넣음->우변의 값을 좌변에 할당함변수를 참조하는 방법- 변수에서 값을 꺼냄- 변수 안에 있는 값을 사용함 복합 대입 연산자연산자  input()함수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함 input()함수로 사용자 입력 받기 프롬프트 함수 input 함수 괄호 안에 입력한 내용블록 (Block)프로그램이 실행 중 잠시 멈추는 것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기input()함수의 .. 2024. 5. 2.
파이썬 시작과 자료형 프로그래밍(Programming):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프로그램(Program) : 미리 작성된 것Pro + Gram = ProGram미리 + 작성된것 = 미리 작성된 것프로그램 = 미리 작성된것 = 진행 계획 컴퓨터 프로그램 (Computer Program)컴퓨터가 무엇을 해야 할지 미리 작성한 진행 계획 프로그래밍 언어이진 숫자(Binary Digit)*0과 1로 이루어진 컴퓨터의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짐코드 실행기*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으므로 이를 이진 숫자로 변환해 주는 역할파이썬(Python)1991년 귀도 반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 초보자가 쉽게 배울 수 있는.. 2024.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