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OSI 모델, TCP/IP 모델, DoD 모델 비교 정리
모델 | 계층 수 | 특징 |
OSI 모델 | 7계층 | 이론적 모델, 프로토콜 독립적 |
TCP/IP 모델 | 4계층 |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모델 |
DoD 모델 | 4계층 | TCP/IP 모델의 기반, 군사 네트워크에서 유래 |
🌐 1. OSI 모델 (7계층)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별로 나눈 개념적 모델
➡ 각 계층마다 특정 역할 담당
계층 | 이름 | 역할 | 대표 프로토콜 |
7 | 응용 계층 |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인터페이스 | HTTP, FTP, SMTP |
6 | 표현 계층 | 데이터 인코딩, 암호화 | JPEG, PNG, SSL/TLS |
5 | 세션 계층 | 세션(연결) 설정 및 유지 | NetBIOS, PPTP |
4 | 전송 계층 | 데이터 흐름 제어, 오류 검출 | TCP, UDP |
3 | 네트워크 계층 | 패킷 라우팅(경로 설정) | IP, ICMP, ARP |
2 |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적 주소(MAC) 기반 통신 | Ethernet, Switch, PPP |
1 | 물리 계층 | 실제 하드웨어 전송 | UTP 케이블, 광섬유 |
🌍 2. TCP/IP 모델 (4계층)
TCP/IP 모델은 인터넷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모델
계층 | 역할 | OSI 대응 | 주요 프로토콜 |
4 | 응용 계층 | OSI 7, 6, 5계층 | HTTP, FTP, DNS |
3 | 전송 계층 | OSI 4계층 | TCP, UDP |
2 | 인터넷 계층 | OSI 3계층 | IP, ICMP, ARP |
1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OSI 2, 1계층 | Ethernet, Wi-Fi |
✔ 특징
- OSI 모델보다 실용적,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
- TCP와 UDP를 사용해 데이터 전송
-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 전달
🏛 3. DoD 모델 (4계층)
DoD(Department of Defense) 모델은 TCP/IP 모델의 기초가 된 군사 네트워크 모델
DoD 계층 | TCP/IP 대응 계층 | 역할 |
응용 계층 | 응용 계층 |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상호작용 |
전송 계층 | 전송 계층 | 데이터 흐름 관리, 신뢰성 제공 |
인터넷 계층 | 인터넷 계층 | 라우팅 및 IP 주소 지정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실제 데이터 전송 |
✔ 특징
- 미국 국방부(DoD)에서 개발
- TCP/IP 모델과 거의 동일
✅ OSI vs. TCP/IP vs. DoD 모델 비교
비교 항목OSI 모델TCP/IP 모델DoD 모델
비교 항목 | OSI모델 | TCP/IP 모델 | DoD 모델 |
계층 수 | 7계층 | 4계층 | 4계층 |
목적 | 개념적 모델 | 인터넷 표준 | 군사 네트워크 |
실제 사용 여부 | 거의 없음 | 인터넷에서 사용 | TCP/IP 기반 |
계층 간 통합 | 엄격한 구분 | 일부 계층 통합 | 일부 계층 통합 |
반응형
'네트워크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 Boot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0) | 2025.04.09 |
---|---|
IP (Internet Protocol) (0) | 2025.04.09 |
TCP/IP (0) | 2025.04.09 |
포트 보안 (0) | 2025.04.09 |
이더채널(EtherChannel)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