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IP (Internet Protocol)

by Mostlove 2025. 4. 9.
728x90
반응형

📌 IP (Internet Protocol) 정리

IP는 L3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데이터의 경로를 결정하고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 IP의 핵심 개념

네트워크 계층(L3)에서 동작
비연결지향적 전송 (Connectionless)
IP 주소 = 네트워크 부분(Net_ID) + 호스트 부분(Host_ID)
라우터는 Net_ID를 보고 경로를 결정 (Routing)
데이터를 작은 조각(패킷/데이터그램)으로 나눠 전송


🔸 IP의 데이터 전송 과정

1️⃣ 전송 계층(L4)에서 데이터 생성

  • TCP 사용 시 → 패킷(Packet) 단위로 조각화
  • UDP 사용 시 → 데이터그램(Datagram) 단위로 조각화

2️⃣ IP가 데이터를 목적지로 라우팅

  • 패킷에 순서번호(Sequence Number) 부여
  • 네트워크 계층에서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

3️⃣ 데이터링크 계층(L2)에서 물리적 전송

  • 패킷이 MAC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 스위치/라우터를 통해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

4️⃣ 목적지에서 재조립 후 상위 계층(TCP/UDP)으로 전달


패킷 vs. 데이터그램

구분 연결 방식 특징  예시
패킷 (Packet) 연결 지향 (TCP) 순서 보장, 재전송 가능 웹 브라우징, 파일 다운로드
데이터그램 (Datagram) 비연결 지향 (UDP) 순서 보장X, 빠른 전송 스트리밍, VoIP

🎯 결론

IP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핵심 프로토콜
TCP와 UDP에 따라 패킷 또는 데이터그램으로 조각화
라우터는 네트워크 주소(Net_ID)만 보고 경로 선택
Wireshark 같은 프로토콜 분석기로 패킷을 확인 가능

🚀 즉, 인터넷 통신의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이 IP!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2025.04.09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 Boot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0) 2025.04.09
TCP/IP  (0) 2025.04.09
OSI 모델과 TCP/IP, DoD모델  (0) 2025.04.09
포트 보안  (0)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