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V2X(Vehicle-to-Everthing)
**차량과 외부 모든 것과의 통신을 의미하는 기술로, 자율주행과 스마트 교통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종류)
명칭 | 설명 |
V2V(Vehicle to Vehicle) | 차량 ↔ 차량간 통신 ex) 급정거 알림 |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 차량 ↔ 신호등/도로 인프라 ex) 신호등 정보수신 |
V2P (Vehicle to Pedestraian) | 차량 ↔ 보행자 ex) 횡단 중인 사람 감지 |
V2N(Vehicle to Network) | 차량 ↔ 클라우드/서버 ex)실시간 내비게이션 |
V2D(Vehicle to Device) | 차량 ↔ 스마트폰 등 개인기기 연결 ex) 키리스 엔트리 |
통신 방식
방식 | 설명 |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5.9GHz 대역 사용, Wi-Fi 유사, 레이터시 낮음 |
C-V2X(Cellular V2X) | LTE/5G 기반 통신, 장거리, 인프라 연계 용이 |
활용 사례
- 차량 간 추돌 방지 경고
- 교차로 충돌 방지
- 스마트 신호 제어
- 자율주행차 협력 주행
PnC(Plug and Charge)
작동방식
- 차량과 충전기 연결
- 차량이 자신의 ** 디지털 인증서(X.509 인증서)**를 충전기에 전달
- 인증서 기반으로 충전기에서 사용자 식별
- 인증되면 자동으로 충전 시작 및 결제까지 완료
주요 기술
요소 | 설명 |
ISO 15118 | PnC의 핵심 국제 표준( 충전기 ↔ 차량 간 통신 프로토콜 정의) |
Public Key Infastructure (PKI) | 차량 인증서 관리 시스템 |
EVSE (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 전기차 충전기 자체 |
장점
- 사용자 편의성 ↑(앱 없이도 충전 가능)
- 보안 ↑ (인증서 기반 식별)
- 무인 충전소 확대 가능
사용 예시
- 테슬라의 슈퍼차저 (자체 프로토콜 기반)
- Mercedes-Benz, BMW, VW 등 유럽 제조사 → ISO 15118 기반 PnC 도입 중
반응형
'네트워크 관련 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M(Unified Threat Management) (3) | 2025.06.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