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네트워크 설정
ubuntu → /etc/network/interfaces
rocky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XXX
인터넷 접속 불가
/etc/resolve.conf 확인
호스트 명
/etc/hosts
**명령어 1; 명령어 2 → 두개의 명령어 동시에 실행
명령어 1&& 명령어 2 → 명령어 1 실행후 (오류시 1에서 멈춤) 명령어 2 실행
Runlevel
- runlevel 0 → 시스템 종료
- runlevel 1 → 관리자용 콘솔로 주로 root의 패스워드 변경이나 GRUB 파일을 수정할 때 사용되는 모드
- runlevel 3 → 전형적인 콘솔 CLI 모드이다.
- runlevel 5 → 일반적으로 늘 사용하는 GUI 모드.
- runlevel 6 → 리부팅
- runlevel 2 와 4는 사용할 일이 없다 → 이들은 전환은 'init 숫자' 로 해주면 된다.
Linux 머신이 부팅되는 과정
Power On → BIOS 설정 점검 → /etc/init.d/inittab 런레벨 데몬 정검 → /etc/fstab등에서 내/외부 장치 마운팅
→ /etc/rc.local시작 직전 설정 실행 → 로그온 화면 보이기 순으로 진행되는데 cat /etc/rc.d/rc.sysinti해서 볼 수 있다.
부트 프로세스
리눅스 시스템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부팅(booting)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
1. 전원 On → 부트로더 단계
- 컴퓨터 전원이 켜지면 BIOS 또는 UEFI가 먼저 실행됩니다
- 이후 부트로더가 실행되며, 리눅스에선 보통 GRUB를 사용합니다.
- GRUB는 멀티 부팅 환경일 경우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제공
- 일정 시간 내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 OS로 자동 부팅됨
2. 커널 로딩 & 시스템 초기화
- GRUB에서 선택된 OS의 커널(kernel)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합니다.
- 이후 필요한 init 프로세스(현재는 systemd 또는 init)가 실행되어 시스템을 초기화 합니다.
- 이 과정에서 장치 설정, 마운트, 서비스 실행 등이 진행됩니다.
3. 런레벨에 따라 로그인 화면 제공
- 부팅 후 시스템은 설정되 런레벨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정합니다.
**저널링 파일 시스템(Ext3~) :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에도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리눅스는 저널링 기능을 갖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보통은 정전 대비용 UPS를 사용하여 갑작스러운 종료 자체를 방지합니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관련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LS (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0) | 2025.07.02 |
---|---|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5.06.24 |
컴파일러 및 기본 설정 (0) | 2025.06.24 |
하드웨어 및 리눅스 관련 정보 (0) | 2025.06.24 |
VMWare 및 하드웨어 구성 (1)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