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IPv6 네트워크 설정 정리
1️⃣ 하드웨어적 주소 & 소프트웨어적 주소
- 하드웨어적 주소: 네트워크 카드(MAC 주소)와 같이 물리적으로 정해진 주소
- 소프트웨어적 주소: IPv6 주소처럼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주소
2️⃣ 인터페이스 간 IPv6 주소 자동 할당
- ipv6 addr autoconfig: MAC 주소 기반으로 IPv6 주소 자동 생성
- ipv6 addr unnumbered [인터페이스]: 다른 인터페이스의 주소를 공유
✅ 예제:
R1(config)# ipv6 unicast-routing # IPv6 사용 설정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v6 addr autoconfig # MAC 주소 기반 자동 설정
R1(config-if)# int fa0/1
R1(config-if)# ipv6 addr unnumbered fa0/0 # fa0/0의 주소를 공유
R1(config-if)# int s0/0/0
R1(config-if)# ipv6 addr autoconfig # 자동 설정
3️⃣ Link-Local 주소만 사용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통신)
인터페이스에 별도 IPv6 주소 없이 Link-Local 주소만 활성화 가능
RT1(config-if)# ipv6 enable
4️⃣ General-Prefix로 네트워크 주소 간편하게 사용
긴 IPv6 주소 대신 General-Prefix(일반 접두어) 사용 가능
✅ 예제:
R1(config)# ipv6 unicast-routing
R1(config)# ipv6 general-prefix ABC 2001:200:1:3::/64 # 'ABC'를 접두어로 설정
R1(config)# int fa0/1
R1(config-if)# ipv6 addr ABC ::1/64 # 'ABC' 접두어 사용하여 주소 지정
5️⃣ IPv6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
📌 RIP 설정
Router(config)# ipv6 router rip ABC # RIP 프로세스 설정
Router(config-rtr)# int fa0/0
Router(config-if)# ipv6 rip ABC enable # RIP 활성화
📌 EIGRP 설정
Router(config)# ipv6 router eigrp 12
Router(config-rtr)# int fa0/0
Router(config-if)# ipv6 eigrp 12 # EIGRP 활성화
📌 OSPF 설정
Router(config)# ipv6 router ospf 10
Router(config-router)# router-id 1.1.1.1 # OSPF 라우터 ID 설정
Router(config-router)# int fa0/0
Router(config-if)# ipv6 ospf 10 area 0 # OSPF 활성화
✅ 요약
설정 | 명령어 |
IPv6 활성화 | ipv6 unicast-routing |
자동 주소 설정 | ipv6 addr autoconfig |
특정 인터페이스 주소 공유 | ipv6 addr unnumbered [인터페이스] |
Link-Local 주소만 사용 | ipv6 enable |
General-Prefix 사용 | ipv6 general-prefix [이름] [주소] |
RIP 활성화 | ipv6 router rip [이름] → ipv6 rip [이름] enable |
EIGRP 활성화 | ipv6 router eigrp [번호] → ipv6 eigrp [번호] |
OSPF 활성화 | ipv6 router ospf [번호] → ipv6 ospf [번호] area 0 |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 네트워크 (2) | 2025.04.11 |
---|---|
서브네팅 (0) | 2025.04.11 |
Back-to-Back 환경 구축하기 (0) | 2025.04.10 |
프로토콜(UDP, FTP, TFTP, Telnet, SNMP) (0) | 2025.04.10 |
이더넷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