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와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는데, 패스워드 변경에서 중요한 것은
-관리자는 어느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할 때 해당 사용자의 이전 패스워드를 알아도 새롭게 패스워드를 설정해 줄 수 있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이전 패스워드를 알 수는 없고, 변경만 할 수 있을 뿐이다.
Window머신의 처리속도를 높이는 방법
- 하드웨어적으로는 RAM 추가, CPU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바탕화면의 컴퓨터 ->C: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우클릭 ->속성 ->도구탭->지금 조각모음 클릭
2) 파일 색인(index)을 생성해서 검색을 빠르게 할 수도 있다.
Windows 서버에서 Linux의 crond/at와 유사한 작업 스케쥴러
작업 스케쥴러는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Disk Defrag 나 Backup등을 자주 작업해야 할때 미리 스케쥴링해서 작업 이외의 시간에 수행되게 하는 방법등이 있다.
WinZip, AlZIP, 7-ZIP등 없이 자동으로 압축파일 풀기 (Self Extraction)
Windows에서는 압축파일을 ~.cab[Cabinet] 파일로 가지고 있고 자동으로 풀린다.
폴더 보안
Windows에서는 생성한 파일/폴더를 휴지통에 버리고 휴지통 비우기도 하지만 Digital forensic에서 복원 도구로 쉽게 복원되기 때문에 복원 불가한 완전 삭제가 보안상 중요하다. Window 11에 들어가면 TPM(OR bit locker)과 같은 원리로 폴더에 대한 키를 생성해주고, 폴더를 삭제한뒤 복구할 때 복구 키가 필요하게 해주면 된다.
성능 모니터
서버 성능의 문제나 오류등을 확인하려면 성능 모니터를 사용하면 된다.
서버 관리자로 로그인 -> 시작 -> 관리도구 ->안정성 및 성능 모니터 클릭 -> 모니터 창이 뜨면 좌측의 모니터링 도구아래에 성능 모니터와 안정성 모니터를 각각 클릭하면 각 내용이 그래픽으로 보인다.
데이터를 암호화로 보호하기
A 사용자가 데이터를 생성한 뒤 암호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이 파일을 읽을 수는 있지만 쓸 수는 없다. 일반 B 사용자는 읽기도 사용할 수 없다.
Administrator의 패스워드를 암호화해서 해시를 USB등 다른 저장소에 저장해두고 로그인할 때 이 키로 로그인하기와 로그인시 매번 패스워드를 변경하게 해서 들어가기
관리자 패스워드를 Windows Server시스템에 저장해두지 않고 USB등 다른 매체에 저장해서 로그인 할 때 사용하면 서버가 침투당해도 저장된 해시가 없으므로 크랙당할 염려가 없으므로 보안이 매우 좋아진다.
그리고 매번 로그인할 때 패스워드 분실로 인한 임시 패스워드를 그때그때 써서 로그인하면 사용자 조차도 자신의 패스워드를 모르므로 해커는 더욱 더 크랙할 방법이 없어서 역시 좋은 기법으로 볼 수 있다..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lnet Server (0) | 2025.03.31 |
---|---|
HDD관리 (0) | 2025.03.28 |
네트워크 Drive Mapping (0) | 2025.03.28 |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0) | 2025.03.28 |
윈도우 서버 (2)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