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dows Server 개요 및 특징
Windows Server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서버 운영체제로, 기업 환경에서 네트워크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Active Directory, GPO(Group Policy Object), Hyper-V, IIS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도메인 기반 네트워크 구축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다중 사용자 시스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 가능
✅ 강력한 네트워크 지원: DHCP, DNS, Active Directory 등 제공
✅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지원: MS SQL Server, 파일 서버 기능 내장
✅ 웹 및 FTP 서버 제공: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로 HTTP/FTP 서버 구축
✅ 가상화 지원: Hyper-V를 통한 가상 머신 운영
✅ 보안 및 정책 관리: GPO 설정을 통한 중앙 집중식 관리
✅ 원격 접속 및 터미널 서비스: 원격 데스크톱 기능 제공
🛠 Windows Server와 Linux Server 비교
기능 | Windows Server | Linux Server |
GUI 지원 | 기본 GUI 제공 | CLI 중심 (GUI 선택 가능) |
도메인 관리 | Active Directory(AD) | LDAP(OpenLDAP) |
네트워크 프로토콜 | SMB, RDP, IIS | NFS, SSH, Apache/Nginx |
가상화 | Hyper-V | KVM, Docker, Xen |
보안 | GPO, NTFS 권한 관리 | iptables, SELinux, ACL |
업데이트 관리 | Windows Update | 패키지 매니저(apt, yum 등) |
라이선스 | 유료 | 대부분 무료 (오픈소스) |
🏗 Windows Server의 도메인 및 사용자 관리
1️⃣ 도메인 개념과 Standalone Server
- Windows Server를 처음 설치하면 Standalone(단독) 서버 상태
- 도메인을 생성하면 Domain Controller(도메인 서버) 로 전환
- 도메인은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컴퓨터, 리소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관리
💡 도메인 컨트롤러의 역할
- 중앙에서 사용자 및 정책 관리
- GPO를 통해 네트워크 정책 설정
- 모든 도메인 내의 노드들에 정책 적용 가능
2️⃣ 사용자 계정 차이점
계정 | 유형 설명 |
로컬 사용자 | 단독 서버에서 생성된 사용자 |
도메인 사용자 | 도메인 서버에서 생성된 사용자 |
관리자(Administrator) | 서버 및 네트워크 관리 권한 보유 |
🔹 주의할 점
- Standalone 서버에서 만든 사용자는 도메인 서버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도메인 사용자가 됨
- 하지만 도메인 사용자 계정은 로컬 사용자로 자동 전환되지 않음
- 도메인 사용자는 네트워크 내 어느 호스트에서도 로그인 가능
🛠 실습 예제
- Standalone 서버에서 paul 사용자 생성 → 도메인 서버로 승격 시 paul은 자동으로 도메인 사용자
- 도메인 서버에서 mary 사용자 생성 → mary는 로컬 사용자로 로그인 불가
🔧 Windows Server 설정 및 관리
1️⃣ 도메인 컨트롤러(Domain Controller)로 승격
✔ 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 (AD DS) 설치
✔ kahn.edu 도메인 생성
✔ DNS 서버 설정 (도메인 네임풀이)
2️⃣ GPO(Group Policy Object) 설정
- 컴퓨터별 정책 적용: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설정 적용
- 사용자별 정책 적용: 각 사용자별 개별 설정 적용
🛠 예제: 바탕화면 정책 설정
- 사용자 구성 적용 → 사용자별 바탕화면 설정
- 컴퓨터 구성 적용 → 모든 사용자의 바탕화면 동일
3️⃣ Windows Server 부팅 과정
- 전원 ON → POST(Power On Self Test)
- MBR(Master Boot Record) 실행
- BOOTMGR 로드 (멀티부팅 선택 가능)
- Windows Loader 실행 (win.ini, sys.ini 로드)
- 로그인 화면 표시
- 시작 프로그램 실행 및 바탕화면 표시
💡 부팅 문제 해결 방법
- 부팅 중 F8 → Safe Mode(안전 모드) 진입
- Last Known Good Configuration으로 부팅
- msconfig 실행 → 부팅 옵션 수정
🌍 원격 데스크톱 및 사용자 관리
1️⃣ 원격 데스크톱(RDP) 설정
- 특정 사용자에게 원격 접속 권한 부여
- 그룹을 생성하여 사용자 관리 가능
- GPO를 활용해 중앙에서 원격 접속 정책 설정
🛠 라이선스 문제 해결
- 원격 접속 사용자 수 제한 해결: Terminal Server 라이선스 필요
- Per Seat vs. Per User 라이선스 개념 숙지
2️⃣ Windows Server의 그룹 종류
그룹 | 유형 설명 |
Global Group | 특정 도메인의 사용자 그룹 |
Domain Local Group | 특정 도메인 내 리소스 관리 |
Universal Group | 여러 도메인에 걸쳐 사용자 관리 |
🏁 결론
Windows Server는 도메인 및 네트워크 관리, 가상화, 원격 접속 등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Active Directory와 GPO를 활용해 중앙 집중식 관리가 가능합니다.
✅ 학습 포인트 정리
✔ Windows Server와 Linux Server의 차이점 이해
✔ 도메인 컨트롤러와 Active Directory 개념 숙지
✔ GPO를 활용한 정책 설정 방법 학습
✔ 원격 데스크톱 및 사용자 관리 실습
Windows Server 환경을 구축하고 실습하면서 개념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lnet Server (0) | 2025.03.31 |
---|---|
HDD관리 (0) | 2025.03.28 |
네트워크 Drive Mapping (0) | 2025.03.28 |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0) | 2025.03.28 |
윈도우 TIP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