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VMware

by Mostlove 2025. 2. 18.
728x90
반응형

VMware는 하나의 호스트 머신에서 여러 가상머신들을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VMware(VMware), VitualBox(Oracle), VitrualPC(MS)등이 사용된다.

CPU Architecture는 Intel(MS windows, Linus, ...), Sparc(UNIX, ...)등이 있어서 특정 운영체제만 지원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Windows운영체제가 설치된 머신은 CPU가 Intel계열(AMD, Cyris, ...)이라는 의미이다.

현재 이컴퓨터에 Solaris UNIX를 설치할 수 없다.

가상머신은 하나의 파일로 처리되므로 CPU와 무관하다. 얼마든지 파일처럼 가상머신들을 복사, 삭제, 이동 할 수 있다.

=>CPU(Centroal Process Unit)에는 Floating Point(연산), L1 Cache memory(이전의 명령어를 기억했다가 빠르게 제공), Register(이웃한 RAM과 연결되는 주소 <=CPU gold pin), Instruction Set(210여개가 RISC/CISC 방식) => CPU는 일종의 명력어 해석기이다.

시스템이 시작되면 HDD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데이터는 RAM으로 올라가고 이를 CPU가 며령해서 처리한다.
HDD에서 처리하지 않고 RAM에서 처리하는 이유는 HDD보다 RAM이 속도가 1000배 가량 빠르다.
RAM은 volatile(휘발성)이어서 전원이 없으면 데이터를 잃게 된다.

가상 머신 안에 마우스를 클릭하면 마우스가 가상머신 안으로 들어가고 Ctrl + Alt를 누르면 나온다.

Linux/Windows/Router/Switch장비를 부팅하면 까만 화면이 뜨는데 이를 POST(Power On Self Test)화면이라고 하며 시스템/장치의 하드웨어나 스프트웨어에서 문제가 있으면 보이므로 오류 발생 시 문제를 해결하고 부팅하면 된다.

Repostiory는 저장소라는 의미이다. Linux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이저장소에서 소스를 가져와 설치해준다.
Repository는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이다.

Linux 설치에서는 두갖만 있으면 되는데 POSIX[파직스]구조의 최상위 directory인 /[root]와 일종의 버퍼메모리인 swap이다.
하지만 정밀하게 설치할 때에는 /, /boot, /tmp, /home, ...식으로 각각의 디렉터리를 설치해서 각각 용량을 줄 수도 있지만, 특정 directory의 용량이 부족해지면 새로운 HDD를 추가해서 용량을넓혀야 하는 작업이 필요해서 자동으로 확장해주는/만 있으면 된다.

메모리에는 Original DRAM이외에

buffer : 일시적인 메모르 공간으로 주로/tmp 디렉터리가 사용한다.
swap : HDD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데 CPU와 이 Swap공간의 데이터 이동을 paging이라고 한다, 여기서 오류가 있으면 Blue Screen이 뜬다. <=Windows에서는 이 공간을 Virtual Memory라고 부른다.
cache :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로써 이전에 실행했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같은 정보를 요청하면 새롭게 찾지 않고 저장해둔 정보를 바로 제공함으로써 빠른 처리를 해줄 수 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과정5일차  (0) 2025.02.26
리눅스 과정 4일차  (0) 2025.02.26
리눅스 과정 3일차  (0) 2025.02.26
리눅스 과정 2일차  (1) 2025.02.25
리눅스 과정 1일차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