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RedHat 계열 배포판 계보
- Fedora → RedHat → CentOS(7)
- Fedora → RedHat → Rocky Linux(8) → CentOS Stream(9, 10)
CentOS 7 이후로 CentOS가 CentOS Stream으로 변경되면서, 기존의 CentOS 8 이후 버전은 Rocky Linux나 AlmaLinux 같은 새로운 배포판으로 대체됨.
2. 컴파일(Compile) 종류
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음.
- 소프트웨어 컴파일:
- 여러 프로그램을 함께 설치할 때 필요 (예: APM - Apache + PHP + MySQL)
- 일반적인 설치 과정:
sh복사편집./configure --option1 --option2 ... make make install
- 커널 컴파일:
- 필요 요소를 추가/삭제하여 커널을 직접 맞춤 설정하는 과정
- 리눅스의 강점 중 하나
3. 시스템 설정 및 관리
- 기본적인 시스템 설정 도구를 한 번에 설치:
sh복사편집yum -y install setup setuptool system-config-*
- CentOS 7에서는 GUI 환경에서 "Applications > System Tools > Settings"에서 설정 가능
-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개념도 중요
- * → 0개 이상 (예: 1* → 1, 12, 1abc 등)
- ? → 1개만 포함 (예: 1? → 12, 1a 등)
4. 시간 동기화 및 하드웨어 시간 설정
- 외부 NTP 서버 사용하여 시간 동기화
sh복사편집rdate -s time.bora.net
- 하드웨어와 시스템 시간 동기화
sh복사편집hwclock --show # 하드웨어 시간 확인 hwclock --systohc # 시스템 시간을 하드웨어 시간에 맞춤 hwclock --hctosys # 하드웨어 시간을 시스템 시간에 맞춤 reboot # 적용 후 재부팅
5. 부팅 및 주기적 작업 자동화
- 부팅 시 자동 실행할 작업: /etc/rc.local에 등록
(예: 백업, 바이러스 검사, rdate 동기화) - 주기적 작업: crontab 사용
- 반복 작업: cron
- 단발성 작업: at
6. 사용자 및 권한 관리
- root 계정 사용은 위험 → sudo 명령어 활용
sh복사편집sudo 명령어 # 현재 사용자 패스워드 필요 su -c '명령어' # root 패스워드 필요 su - # root 계정으로 전환 (root 패스워드 필요)
- /etc/sudoers 파일 수정 또는 %wheel 그룹에 사용자 추가하면 sudo 사용 가능
7. 프로세스 및 파일 입출력
- 입출력 리디렉션
- 0> 표준 입력
- 1> 표준 출력
- 2> 표준 에러
- /dev/null을 이용해 출력 숨김 (블랙홀)
sh복사편집명령어 > /dev/null 2>&1
8. 환경 변수 설정
- 환경 변수 등록:
sh복사편집export 변수명="값"
- 확인:
sh복사편집echo $변수명
9. 런 레벨 서비스 관리
- 특정 런 레벨에서 서비스 활성/비활성화
sh복사편집chkconfig --level 3 bluetooth off # CLI 모드에서 블루투스 비활성화 chkconfig --level 5 CUPS on # GUI 모드에서 프린터 활성화
10. 네트워크 및 DNS 설정
- 글로벌 DNS 서버 목록
- Google: 8.8.8.8, 8.8.4.4
- KT: 168.126.63.1, 168.126.63.2
- SK: 221.139.13.130, 210.94.0.73
- LG: 164.124.101.2, 203.248.252.2
- Cloudflare: 1.1.1.1, 1.0.0.1
11. 프린터 및 Samba 설정
- 리눅스에서 프린터 공유는 Samba 사용
- 프린터 관련 프로토콜
- CUPS (Common Unix Printing System)
- LPD (Line Protocol Daemon) / LPR (Line Protocol Remote)
- IPP (Internet Print Protocol)
- IPQ (Internet Print Queue)
12. IP 및 네트워크 설정
- 네트워크 설정 파일 (ens33 예제)
sh복사편집ifconfig ens33 192.168.100.200 netmask 255.255.255.0 up ifconfig default gw 192.168.100.2 device ens33
- 설정 적용
sh복사편집ifdown ens33 && ifup ens33 service network restart
13. SELinux 설정
- 일시적으로 해제
sh복사편집setenforce 0
- 영구 설정 (파일 수정)
sh복사편집vi /etc/selinux/config
14. 파일 편집기
- vi 편집기 사용법
- vi 파일명 → 파일 열기
- i 또는 a → 편집 모드 (--INSERT--)
- Esc → 명령 모드
- :wq → 저장 후 종료
- :wq! → 강제 저장 후 종료
15. FQDN 설정 (도메인 설정)
- /etc/hosts 파일 편집하여 도메인 이름 설정
sh복사편집192.168.1.10 centos7-1.kahn.edu
16. Localhost 개념
- 127.0.0.1 (IPv4) 또는 ::1 (IPv6)은 자기 자신(localhost)
- 도메인과 IP 매핑 시 /etc/hosts에 설정 가능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과정6일차 (0) | 2025.02.26 |
---|---|
리눅스 과정5일차 (0) | 2025.02.26 |
리눅스 과정 3일차 (0) | 2025.02.26 |
리눅스 과정 2일차 (1) | 2025.02.25 |
리눅스 과정 1일차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