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Routing Protocol, Routed Protocol

by Mostlove 2025. 4. 17.
728x90
반응형

1. 라우팅 프로토콜 vs 라우티드 프로토콜

 

항목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티드 프로토콜 📦
역할 최적 경로를 찾는 역할 실제 데이터 전송 역할
예시 RIP, OSPF, IGRP, EIGRP IP, IPX, AppleTalk
특성 라우터 간 라우팅 정보 공유 목적지까지 데이터 전달
표준성 RIP, OSPF(ISO) / EIGRP(시스코 전용) IP(표준), IPX/AppleTalk(전용)
사용 환경 동적 설정에서만 사용 라우팅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

2. IGP와 EGP 프로토콜

 

항목  IGP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EGP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관리 영역 하나의 AS(Autonomous System) 내 여러 AS 간
예시 RIP, EIGRP, OSPF BGP
사용 범위 LAN, WAN 모두 주로 WAN
라우팅 테이블 크기 큼 (서브넷 정보 모두 포함) 작음 (요약된 정보만 교환)
문제 발생 시 영향 조직 전체 통신 장애 도시/국가 단위 장애 가능

3. 경계 라우터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경계 라우터 =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를 잇는 연결점
  • 내부는 IGP, 외부는 EGP 사용
  • EGP의 대표 프로토콜: BGP
  • BGP는 AS끼리 통신할 수 있도록 경계 라우터 간 정보를 교환
  • 내부 정보는 외부에 **요약(Route Summary)**으로만 제공
  • 각각의 AS는 IGP를 통해 내부 라우터끼리 소통함

4. 라우팅 기법

 

방식 거리 벡터 (Distance Vector) 🛣️   링크 상태 (Link State) 🌐
작동 방식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이웃에게 전달 이웃에게 상태(LSP)를 알리고, 전체 맵 구성 후 SPF로 경로 계산
경로 결정 기준 홉 수 (TTL) 대역폭, 지연 등 품질 기준
예시 RIP, IGRP, RIPv2 OSPF, EIGRP, NLSP
효율성 소규모에 적합 대규모에 적합
테이블 종류 라우팅 테이블 네이버 → 토폴로지 → 라우팅 테이블
특징 간단, 설정 쉬움 정확, 설정 복잡하지만 효율 높음

🔍 관리거리(Administrative Distance)는 신뢰도 순위! 낮을수록 우선!


5. OSPF 설정 핵심 정리

 

항목 설명
프로토콜 종류 IGP, 링크 상태 방식
주요 구성 Area 0 = Backbone Area, 반드시 다른 Area와 연결되어야 함
경로 선택 기준 링크 상태(지연, 대역폭 등) 기반
테이블 작성 네이버 → 토폴로지 → 라우팅 테이블
상태(State) 인터페이스 상태, 할당 IP, 서브넷, 비용 등 종합 정보
Wildmask 서브넷마스크의 반전 값 사용 (0은 네트워크, 1은 호스트)
네트워크 확장 시 구조 변경 or PVC or Redistribute로 다른 프로토콜과 연동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