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dow

Windows Standalone 서버를 Domain Controller로 전환하여 활용하기

by Mostlove 2025. 3. 31.
728x90
반응형

Windows Standalone 서버를 Domain Controller로 전환하여 활용하기

이번에는 Windows Standalone Server(단독 서버)를 **Domain Controller (도메인 컨트롤러)**로 변환하여, 서울 본사(kahn.edu)와 부산 지사(pusan.kahn.edu) 간의 연결을 도메인 내에서 관리하고, 도메인 별로 산재한 사용자, 데이터, 프린터 등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1️⃣ Active Directory 구축

Active Directory(AD)는 Windows Server에서 도메인 내 자원(사용자, 데이터, 컴퓨터, 프린터 등)을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AD는 조직의 네트워크에서 자원들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리소스를 공유하고 공동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입니다.

용어 정리:

  • Directory Service: 네트워크 환경에서 자원에 대한 정보를 중앙 저장소에 통합한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자원의 물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자원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 AD (Active Directory): 디렉터리 서비스를 Windows Server에서 구축한 형태로, 네트워크 내 사용자, 컴퓨터 및 기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단일 도메인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Domain: 네트워크 관리의 단위로, 인증, 검색 등을 통해 도메인 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관리 영역입니다. 하나의 도메인은 하나의 Active Directory로 구성됩니다.
  • Tree/Forest: 도메인을 트리(Tree)와 포리스트(Forest)로 묶을 수 있습니다. 여러 도메인이 하나의 트리로 구성되며, 트리들이 모이면 포리스트가 됩니다. 예를 들어, kahn.edu와 abc.com 도메인은 각각의 트리로 묶여 하나의 포리스트가 됩니다.
  • Site: 물리적 개념으로, 지리적 위치에 따라 도메인 내 서버들을 분류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kahn.edu 도메인, 부산에 pusan.kahn.edu 도메인이 있을 때 각각 하나의 사이트가 되며, 이 두 사이트가 묶여 하나의 포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 Trust: 도메인 트리나 포리스트 사이에 신뢰 관계를 설정하여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양방향 트러스트가 설정되며, 특정 상황에서는 단방향 트러스트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OU (Organizational Unit): 도메인 내에서 자원을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kahn.edu 도메인 내에서 관리부, 영업부, 경리부 등을 각각 OU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DC (Domain Controller): 도메인 내에서 자원과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서버입니다. **PDC (Primary Domain Controller)**는 도메인의 주 서버로 초기 설치되며, **BDC (Backup Domain Controller)**는 PDC의 백업 역할을 합니다. **RoDC (Read-Only Domain Controller)**는 읽기 전용 서버로 사용됩니다.
  • GC (Global Catalog): AD 트러스트 내의 모든 개체 정보(사용자명, 로그인 아이디 등)를 통합 저장하는 서버입니다. PDC는 대부분 GC 서버 역할을 겸합니다.

2️⃣ 도메인 컨트롤러로 변환하기 (DCPROMO)

  1. Standalone Server에서 도메인 컨트롤러로 전환
    • 단독 서버에서 dcpromo.exe를 실행하면, 해당 서버가 도메인 컨트롤러로 변환됩니다.
    • 이 과정은 한 번만 실행하며, 도메인 컨트롤러로 전환 후에는 다시 단독 서버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 디스크 관리 도구Norton's Partition Magic을 사용하면 도메인 컨트롤러로 전환을 되돌릴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2. 도메인 로그인 방식
    • 도메인 컨트롤러로 변환 후,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이 KAHN\Administrator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 이전의 로컬 로그인 형식인 **Administrator**는 도메인 환경에서 KAHN\Administrator 형태로 변경됩니다.
    • 최신 시스템에서는 Administrator@kahn.edu 형식의 UPN(User Principal Name) 로그인도 가능합니다.
  3. 도메인 사용자의 관리
    • 도메인에 가입된 사용자들은 도메인에 속한 어느 워크스테이션에서라도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도메인 사용자 seoul1은 kahn\seoul1 또는 seoul1@kahn.edu 형식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 로컬 사용자(seoul1, seoul2)는 도메인 설정 없이 해당 로컬 컴퓨터에서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3️⃣ 도메인 구조와 리소스 관리

  1. 도메인과 트러스트 관계
    • 도메인 간에는 트러스트 관계가 설정되어야 자원을 이동하거나 공유할 수 있습니다. 트러스트 관계는 기본적으로 양방향 트러스트로 설정되며, 특정 목적에 따라 단방향 트러스트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2. Active Directory 사용자 및 컴퓨터 관리
    • 로컬 서버에서의 ‘사용자와 그룹’ 관리와 도메인 서버에서의 ‘Active Directory 사용자 및 컴퓨터’ 관리가 다릅니다.
    • 도메인 서버에서 관리하는 도메인 사용자도메인 컴퓨터는 네트워크 내 모든 워크스테이션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서버에서는 도메인에 속한 모든 리소스(사용자, 데이터, 프린터 등)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도메인 환경에서 리소스 공유
    • 도메인 환경에서는 파일 서버프린터 서버를 중앙에서 관리하며, 이를 도메인 내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간에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공유하고 트러스트 관계를 맺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4️⃣ 실습 예시

  • 서울 본사와 부산 지사의 연결
    • 서울 본사의 kahn.edu 도메인과 부산 지사의 pusan.kahn.edu 도메인은 각각 트리로 구성되며, 포리스트로 묶여 서로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트러스트 관계를 설정하여 각 도메인에서 다른 도메인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결론

이 과정은 Windows ServerStandalone Server에서 Domain Controller로 전환하고, Active Directory를 구축하여 도메인 환경에서 사용자와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도메인 서버가 네트워크 내의 모든 리소스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도메인 간 리소스 공유가 가능하게 됩니다.


제목 제안

  • "Standalone 서버를 Domain Controller로 전환하여 도메인 관리 및 리소스 공유하기"
  • "Windows Server를 도메인 서버로 변환하여 도메인 환경 구축 및 관리하기"
반응형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mba를 사용하여 Windows와 Linux(Rocky8)간에 파일공유  (1) 2025.04.01
도메인 구조  (0) 2025.04.01
DataBase Server  (2) 2025.03.31
Mail Server  (0) 2025.03.31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0)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