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 📦
YUM은 RedHat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로, Debian 계열의 APT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YUM을 사용하면 패키지의 시스템 경로나 종속적인 파일을 모르더라도 소프트웨어 리포지터리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YUM은 /etc/yum.repos.d/ 디렉터리에 있는 리포지터리 파일을 사용하여 패키지 정보를 가져옵니다. 이 리포지터리 파일들은 로컬, 네트워크 디렉터리, 또는 HTTP/FTP 서버일 수 있습니다.
설치 방법 정리 🔧
- RPM 패키지 설치: .rpm 파일은 rpm -ivh 또는 yum install을 통해 설치 가능합니다. 설치 여부는 rpm -qa [패키지명]으로 확인하고, 삭제는 rpm -e [패키지명]으로 할 수 있습니다.
- DEB 패키지 설치: .deb 파일은 dpkg -iv로 설치하고, apt-get install을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 확인은 dpkg -s [패키지명], 삭제는 dpkg -P [패키지명]으로 합니다.
리포지터리 활용 📂
- 기본 리포지터리: CentOS는 기본적으로 CentOS-Base.repo와 같은 리포지터리를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nginx.repo와 같은 특정 패키지 리포지터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추가 리포지터리: EPEL, REMI, IUS와 같은 외부 리포지터리를 추가하여 소프트웨어 관리의 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YUM 명령어 사용법 📝
- yum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설치
- yum check-update: 설치된 패키지의 업데이트 가능한 버전 확인
- yum update: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특정 패키지만 업데이트는 yum update [패키지명]으로 가능
- yum erase / yum remove: 패키지 삭제
- yum clean: 캐시된 패키지 정보 삭제
- yum info [패키지명]: 패키지 정보 확인
- yum search [패키지명]: 설치 가능한 패키지 검색
- yum groupinstall [그룹명]: 그룹 단위로 패키지 설치
로컬 리포지터리 구축 💻
로컬 리포지터리는 CentOS 설치 DVD에 포함된 4,071개의 RPM 파일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파일들을 /etc/yum.repos.d/ 디렉터리에 적절히 설정된 repo 파일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컬 리포지터리 사용 방법
- 특정 리포지터리 사용 안 하기: /etc/yum.repos.d/에서 enabled=0을 설정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 우선순위 설정: priority=1 등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특정 리포지터리를 나중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특정 리포 제외 설치: yum install [패키지명] --disablerepo=[리포지터리명] 또는 yum install [패키지명] --enablerepo=[리포지터리명]으로 특정 리포를 제외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YUM Groupinstall 💡
groupinstall 명령어는 여러 패키지를 묶어서 한 번에 설치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개발 도구들을 설치할 때 groupinstall을 사용하여 일일이 패키지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시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이 명령어는 bison, gcc, git, subversion 등 여러 개발 도구들을 한 번에 설치합니다.
표로 정리 📊
명령어 | 설명 |
yum install [패키지명] | 패키지 설치 |
yum update |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
yum remove | 패키지 삭제 |
yum groupinstall | 여러 패키지를 묶어서 그룹 단위로 설치 |
yum search | 설치 가능한 패키지 검색 |
yum list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
yum clean | 캐시된 패키지 정보 삭제 |
yum info [패키지명] | 패키지 정보 확인 |
YUM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을 익히면, 시스템 관리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중요한 도구와 설정 방법 (0) | 2025.03.18 |
---|---|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 (0) | 2025.03.13 |
리눅스 과정 12일차 (1) | 2025.03.05 |
리눅스 과정 11일차 (1) | 2025.03.04 |
리눅스 과정 10일차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