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방화벽(FireWall: FW)

Mostlove 2025. 4. 17. 17:20
728x90
반응형

🔐 방화벽(FireWall, FW) 기반 네트워크 설정 요약

기본 구조 및 라우팅


항목  내용
라우팅 기법 정적 라우팅, 디폴트 라우팅 → 방화벽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됨
방화벽과 VLAN 분리 FW 중심으로 내부(VLAN2: LAN)와 외부(VLAN1: WAN)를 구분
Security Level - Inside (LAN): 100
- Outside (WAN): 0
- Management Zone: 1~99 사이

보안적 관점

  • 외부 해커는 직접 침투보다는 내부자 침투(소셜 엔지니어링) 선호
  • Management Zone 설정을 통해 내부 관리 구간도 세분화 가능

🔄 방화벽의 역할 및 기능


기능 설명
L3 스위치 역할 VLAN 분할 및 트래픽 제어 가능 (라우터 기능 포함)
NAT 및 DHCP 서버 내부 노드에 자동으로 IP 등 네트워크 정보 제공
DNS 연동 외부 DNS 서버 설정 가능, 이름 해석 기능 지원
인터페이스 예: eth0/0 → VLAN1, eth0/1 → VLAN2 식으로 설정

➡️ 즉, 방화벽은 라우터 + 스위치 역할을 모두 수행하며, 다양한 이기종 장비를 연동하는 중심 장비!


🧱 object network 개념


항목 설명
정의 네트워크 요소(dhcp, ospf 등)를 객체로 만들어 재사용하는 개념
비유 프로그래밍 언어(Java, Python)의 클래스와 객체 개념과 유사
사용 예 - DHCP, OSPF 객체를 생성한 뒤 필요 위치에 적용
- ACL, VPN 설정 시 여러 access-list를 객체화해서 재사용

🧩 요약 정리 표

구분 기능/특징
방화벽 장비 VLAN으로 내부/외부 구분, Security Level 설정
라우터 역할 정적/디폴트 라우팅, NAT, DHCP 제공
스위치 역할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VLAN으로 연결
object network 설정 재사용을 위한 객체 기반 관리 기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