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무선 (Wireless)

Mostlove 2025. 4. 14. 17:30
728x90
반응형

📡 무선 시스템에서의 중첩 (Overlap)

✅ 중첩의 개념

  • ESS(Extended Service Set) 환경에서는 **여러 개의 AP(Access Point)**가 존재.
  • 무선 신호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10~15% 정도의 중첩을 허용.
  • 하지만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AP 간 중첩이 생기면, 전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음.

✅ 비 중첩 채널 (Non-overlapping Channels)

📶 IEEE 802.11b (2.4GHz 대역)

  • 비 중첩 채널: 1, 6, 11
  • 총 3개의 비 중첩 채널만 사용 가능

📶 IEEE 802.11a (5GHz 대역)

  • 비 중첩 채널 예: 36, 40, 44, 48, 52, ..., 153, 157, 161
  • 19개 채널까지 비 중첩 채널로 설정 가능

⚠️ 설정 시 주의점

  • AP는 서로 다른 비 중첩 채널을 사용해야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음.
  • 관리자가 AP 설정에서 적절한 채널을 수동으로 지정하는 것이 중요함.

📶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 1. Dual Band AP (이중 대역 무선 공유기)

  • 대부분의 무선 시스템2.4GHz 또는 5GHz를 사용하는 듀얼 밴드 AP 사용 중
  • 각 대역은 특징과 용도가 다름

✅ 2. 2.4GHz 주파수 대역

특성  설명
📡 용도 원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용도
💡 현재는 TV 리모컨, 전자렌지, 장난감 등 일상 기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 관련 표준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지원
🔗 기타 **블루투스(Bluetooth)**도 이 대역 사용 (통신 거리: 약 10m)

✅ 3. 5GHz 주파수 대역


특성  설명
📡 용도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대역
📶 관련 표준 IEEE 802.11a, IEEE 802.11n, IEEE 802.11ac
⚡ 장점 간섭이 적고 더 많은 비 중첩 채널 사용 가능
⚠️ 단점 도달 거리가 2.4GHz에 비해 짧음

✅ 4. 최신 표준: IEEE 802.11ac

  • Cisco에서 주도적으로 개발
  • 2.4GHz와 5GHz 동시 지원
  • 1Gbps 이상의 속도 제공
  • 별칭: Gigabit Wi-Fi

🔍 기타 참고 사항

  • 적외선 통신
    → 예전에는 1m 이내에서만 통신 가능했지만, 블루투스 등장으로 대체됨
  • 전자파의 파장 길이 순서
    적 → 주 → 노 → 초 → 파 → 남 → 보 → 자외선 (왼쪽이 파장이 김)
  • Amateur HAM Radio
    극초단파(UHF, VHF) 사용

📡 무선 표준 비교표

항목 IEEE 802.11b IEEE 802.11a IEEE 802.11g IEEE 802.11n
출시년도 1999 1999 2003 2009
최대 속도 11Mbps 54Mbps 54Mbps 최대 540Mbps
사용 주파수 2.4GHz 5GHz 2.4GHz 2.4GHz / 5GHz (듀얼)
비중첩 채널 3채널 19채널 3채널 3채널(2.4GHz) / 19채널(5GHz)
통신 거리 약 100m 24~100m 30~130m 최대 300m
통신 방식 DSSS OFDM OFDM FHSS

📡 무선 인코딩 방식 3종 요약


1️⃣ 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 주파수를 빠르게 바꾸면서 전송
  • 간섭 회피에 효과적
  • 보안성이 뛰어남
  • 고속 & 대규모 전송에 적합
  • 💻 유선의 패킷 스위칭 방식과 유사 (데이터를 쪼개 전송)

2️⃣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고정해서 사용
  • 낮은 전력으로 넓은 대역폭을 독점
  • 잡음과 보안에 매우 강함
  • 💻 유선의 회선 스위칭 방식과 유사 (통화선처럼 연결 유지)

3️⃣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신호를 여러 주파수로 나누어 동시에 전송
  • 각 주파수는 **서로 직각(Orthogonal)**이라 간섭 없음
  • 주파수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
  • 💻 유선에서는 유사한 방식 없음

  • 좋아! 이번에는 아래 세 가지 무선 통신 기술을 깔끔하게 정리해줄게 📡
    Wi-Fi, Li-Fi, WiBro 비교해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어!
    📶 Wi-Fi (Wireless Fidelity)
    항목  설명
    🔹 정의 전자기기를 무선랜(WLAN)에 연결해주는 기술
    🔹 표준 IEEE 802.11 (특히 802.11n이 Wi-Fi로 불리기도 함)
    🔹 주파수 2.4GHz(UHF), 5GHz(SHF)
    🔹 장치 PC,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기, 프린터 등
    🔹 거리 실내 약 20m, 실외 수십~수백 m (AP 중첩 시 km까지 확대 가능)
    🔹 보안 - WEP: 구식, 취약 - WPA/WPA2: 향상된 보안 - WPS: 편리하지만 보안 결함 존재 ⚠️

    💡 Li-Fi (Light Fidelity)
    항목  설명
    🔹 정의 (LED, 적외선, 자외선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 기술
    🔹 통신 방식 빛을 깜빡이며 데이터 전송 (사람 눈에 안 보임)
    🔹 대역폭 전파보다 약 100만 배 넓은 대역폭
    🔹 장점 매우 빠른 속도높은 보안성
    🔹 용도 5세대(5G) 무선 통신으로의 응용 시도 중

    🌐 WiBro (Wireless Broadband)
    항목  설명
    🔹 정의 이동성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술
    🔹 표준 IEEE 802.16e
    🔹 개발 목적 Wi-Fi는 이동 시 끊김이 있었으나, WiBro는 핸드오버(Hand-over) 지원
    🔹 통신 기술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 셀룰러 기술
    🔹 장점 이동 중에도 끊김 없이 접속 가능, QoS 보장 (영상 스트리밍 등에 유리)

    📌 요약 
    비교구분  Wi-Fi  Li-Fi  WiBro
    매체 전파 전파
    거리 실내 20m 내외 시야 범위 내 셀 기반 (수 km)
    이동성 ❌ 제한적 ❌ 시야 제한 ✅ 지원
    속도 보통~빠름 매우 빠름 빠름
    보안 보통 (WPA2 기준) 매우 우수 우수
    특징 널리 사용 차세대 기술 과도기적 기술
    📡 무선 신호의 세기 (Signal Strength)
    항목  설명
    📏 측정 단위 dB (데시벨)
    📘 정의 로그(log)를 이용해 신호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단위
    🧮 계산 공식 dB = 10 × log₁₀(P₂ / P₁) ※ 여기서 P₂: 측정값, P₁: 기준값
    👉 예시 공식 응용 만약 P₁ = 10이고, P₂가: - 10이면 → 10 × log(10/10) = 0 dB - 100이면 → 10 × log(100/10) = 10 dB - 1000이면 → 10 × log(1000/10) = 20 dB

    💡 로그 계산을 쉽게 이해하기N (신호 강도) 
    dB 값  계산  결과
    10 10 × log(10/10) 0 dB
    100 10 × log(100/10) = 10 × log(10) 10 dB
    1000 10 × log(1000/10) = 10 × log(100) 20 dB
    10000 10 × log(10000/10) = 10 × log(1000) 30 dB
    🔍 결론: 신호가 10배 증가할 때마다 10dB씩 증가해!
    📌 참고 개념
    • dBm: dB와 비슷하지만 기준이 1mW로 고정된 절대적인 전력 단위
      → 예: -30dBm (강한 신호), -90dBm (약한 신호)
    • Wi-Fi 수신 세기  
      기준수치 (dBm) 의미
      -30 ~ -50 매우 강함
      -60 ~ -70 양호
      -80 이하 약함, 불안정

    필요하다면 dBm 관련 개념도 이어서 설명해줄게! 다음 내용도 정리할 준비됐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