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서브네팅

Mostlove 2025. 4. 11. 17:17
728x90
반응형

1️⃣ 서브네팅이란?

서브네팅(Subnetting)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는 것

  •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 (낭비 방지)
  •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축소)
  • 보안성 증가 (부서별 네트워크 분리 가능)

서브네팅이 필요한 이유

  1. IP 주소 낭비 방지: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나눠 활용
  2. 네트워크 성능 향상: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감소
  3. 보안 강화: 네트워크 분리로 보안 위험 감소
  4. 관리 효율성 증가: 부서별, 기능별 네트워크 분리 가능

2️⃣ 서브네팅 예시

문제:
"10.0.0.0/8 네트워크에서 각 서브넷당 최대 500명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서브넷을 분할하라."

💡 풀이

  1. 500명의 호스트를 수용하려면 몇 개의 비트가 필요한가?
    • 2⁹ = 512 (9비트 필요)
  2. 서브넷 마스크 계산
    • 기본 10.0.0.0/8
    • 9비트 추가 → /17 (255.255.128.0)
  3. 서브넷 증가 단위
    • 주소 증가 단위 = 2⁹ = 512
    • 즉, 네트워크 주소는 10.0.0.0, 10.0.2.0, 10.0.4.0, ... 증가
  4. 세 번째 서브넷 정보
    • 네트워크 주소: 10.0.2.0
    • 브로드캐스트 주소: 10.0.3.255
    • 유효 호스트 범위: 10.0.2.1 ~ 10.0.3.254

3️⃣ 서브네팅 vs 슈퍼네팅 (CIDR)

 

구분 슈퍼네팅 (CIDR) 슈퍼네팅(CIDR)
개념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나눔 작은 네트워크를 합쳐서 큰 네트워크로 만듦
목적 IP 주소 효율적 사용, 트래픽 감소 라우팅 테이블 크기 감소
방식 서브넷 마스크 길이 증가 (/24 → /26) 서브넷 마스크 길이 감소 (/24 → /22)
예시 192.168.1.0/24 → 192.168.1.0/26 192.168.1.0/24 + 192.168.2.0/24 → 192.168.0.0/22

4️⃣ WAN 구간 시리얼 연결

WAN에서 라우터 간 연결시리얼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루어짐

설정 방법

Router(config)# int s0/0/0  
Router(config-if)# ip address 192.168.1.1 255.255.255.252  
Router(config-if)# clock rate 64000  # DCE 인터페이스일 경우 설정 필요
Router(config-if)# no shutdown

WAN에서의 주요 개념

  • DCE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클락 신호 제공 (클락 속도 설정 필요)
  • DTE (Data Terminal Equipment): 클락 신호 수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