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서버
📌 NAS 서버란?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로, 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하고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외장 하드"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주요 특징
✅ 파일 공유 및 백업 기능
✅ 별도의 운영체제(OS) 내장 (ex. Synology DSM, QNAP QTS)
✅ RAID 지원으로 데이터 보호 가능
✅ FTP, SMB, NFS 등 다양한 파일 공유 프로토콜 지원
✅ 개인용, 기업용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
🛠 NAS 서버 구축 방법
NAS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기성품 NAS 사용 (Synology, QNAP 등)
- 제조사의 전용 OS가 설치되어 있어 간편함
-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관리 가능
- 가격이 다소 비쌈
2️⃣ 직접 NAS 서버 구축 (PC, 라즈베리파이 등 활용)
- 비용 절감 가능
- 원하는 OS 및 소프트웨어 설치 가능
- 구축 난이도가 다소 높음
🚀 직접 NAS 서버 설치하기 (프리나스 FreeNAS 활용)
📢 FreeNAS(현재 TrueNAS)란?
- 무료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
- ZFS 파일 시스템 지원
- 웹 UI 제공
✅ 설치 준비물
🔹 컴퓨터 (64bit CPU, 8GB 이상 RAM 권장)
🔹 최소 16GB 이상의 USB 또는 SSD (부팅용)
🔹 NAS용 하드디스크 (데이터 저장용)
🔹 네트워크 연결 가능 환경
🏗 설치 과정
1️⃣ FreeNAS(현재 TrueNAS) 다운로드 및 USB 부팅 디스크 생성
- TrueNAS 공식 사이트에서 ISO 파일 다운로드
- Rufus 또는 balenaEtcher를 사용해 USB에 부팅 디스크 생성
2️⃣ FreeNAS 설치
- 부팅 후 Install/Upgrade 선택
- NAS 운영체제 저장용 드라이브 선택 (USB 또는 SSD)
- 로그인 계정 생성
3️⃣ 네트워크 설정
- 웹 브라우저에서 http://<NAS IP 주소> 접속
-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4️⃣ 스토리지 설정
- 저장소 추가 (RAID 설정 가능)
- 공유 폴더(SMB/NFS) 생성
5️⃣ 파일 공유 설정
- Windows(삼바 SMB), Mac(AFP), Linux(NFS)와 연결
💡 예시: NAS 구축 후 파일 공유
📌 예제: Windows에서 NAS 접속
1️⃣ NAS에 공유 폴더 생성
2️⃣ Windows에서 \\<NAS IP> 입력
3️⃣ NAS 계정 입력 후 공유 폴더 접근
📌 예제: Linux에서 NAS 연결 (NFS 사용)
sudo mount -t nfs <NAS IP>:/mnt/NAS_Shared /mnt/local_folder
🎯 마무리
NAS 서버는 데이터 백업, 미디어 스트리밍, 파일 공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성품을 사용하면 쉽지만, 직접 구축하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TrueNAS 같은 오픈소스 솔루션을 활용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NAS를 구축할 수 있으니 한 번 도전해 보세요! 😊